본문 바로가기
개별기업

정다운 투자분석

by 사랑가속도 2025. 2. 28.

정다운(주식회사 정다운, KOSDAQ: 208140)은 2000년 4월에 설립된 한국의 오리 전문 기업으로, 전라남도 나주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육용 오리를 도축하여 신선육, 육가공품, 간편식(HMR), 그리고 오리털을 수출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정다운은 수직계열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부화부터 사육, 도축, 가공, 유통까지의 모든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

  • 육가공: 신선육 및 다양한 육가공품을 생산하여 판매합니다.
  • HMR(간편식): 소비자에게 편리한 형태로 가공된 식품을 제공합니다.
  • 우모 사업: 오리털을 세척하여 수출하는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재무 정보:

  • 주요 주주: 이지홀딩스(49.50%)

정다운의 오리털 수출 시장은 어떤 국가들인가요?

1. 주요 수출 국가

  • 중국: 정다운의 오리털은 중국으로의 수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시장에서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오리털의 주요 소비국 중 하나로, 전체 수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 베트남: 베트남 역시 정다운의 오리털 수출에 중요한 시장으로, 수출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베트남은 오리털 가공 및 재판매를 위한 주요 허브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대만: 대만은 정다운의 오리털이 1차 가공된 후 2차 가공업체로 전량 수출되는 경로 중 하나입니다. 이 지역에서도 오리털의 수요가 높습니다.
  • 기타 국가들: 정다운은 또한 인도네시아와 같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로도 오리털을 수출하고 있으며, 이들 국가에서도 오리털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2. 수출 증가율

정다운의 오리털 수출은 최근 몇 년 동안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24년에는 수출액이 3,700만 달러에 달하며 73%의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아시아 시장에서의 수요 확대에 기인한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정다운의 오리털 수출 시장은 중국, 베트남, 대만을 중심으로 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아시아 국가들로의 수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에서의 성장은 정다운의 사업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정다운의 오리털 수출 시장에서의 경쟁업체는 누구인가요?

1. 주요 경쟁업체

  • 사조원: 오리 및 육가공 분야에서 강력한 입지를 가진 기업으로, 정다운과 함께 국내 오리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사조원은 오리 도축 및 가공에서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다솔: 오리 도축 및 가공업체로, 정다운과 유사한 제품군을 제공하며, 시장 점유율이 높은 기업입니다. 다솔은 오리 가공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 농협: 농협은 다양한 축산물과 가공품을 생산 및 유통하는 대규모 협동조합으로, 오리털 및 오리 가공품 시장에서도 중요한 경쟁자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 시장 점유율 및 경쟁력

정다운은 오리털 시장에서 1위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하루에 약 25,000kg의 오리털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다운이 오리털 가공 및 수출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사조원과 다솔과 같은 경쟁업체들도 시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어, 경쟁이 치열한 상황입니다.

3. 시장 동향

오리털의 수요는 특히 경량 패딩과 같은 의류 제품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정다운과 경쟁업체 모두에게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정다운 208140 시장 위치 및 경쟁력

 

시장 위치:

  • 점유율: 정다운은 국내 오리 시장에서 약 20%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2위에 해당합니다. 2021년에는 27%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나, 최근 몇 년간 점유율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2024년 1분기에는 점유율이 22%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제품 다양성: 정다운은 오리 육가공, 오리털(우모) 가공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특히 오리 육가공품의 비중이 높습니다. 신선 제품과 훈제 제품이 전체 매출의 83.3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군은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합니다.